본문 바로가기

★요즘 이야기★/***사는이야기

(122)
꾀복쟁이 우정 재현하기 우리 셋은 70년 넘는 꾀복장이 친구 사이로, 자칭 '배양구지 3총사'다. 2024년 4월 18일~19일, 1박 2일 나들이에 나서는 날, 각각 서울, 부안, 전주에 사는 우리는 정읍역에 집결했다. 갈 곳은 만나서 이야기하면 된다. 그래도 조그만치의 착오가 없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계획보다 무계획이 편하고, 작정보다 무작정이 더 나은 나들이다. 초등학교 시절, 수학여행을 갔었던 내소사를 시작으로 격포, 고사포, 변신해수욕장, 새만금댐, 선유도, 고마저수지 등을 돌아왔다. 첫날 밤을 격포 바다호텔에서 묵었는데, 바다를 향한 전망이 일품이었다. 초등 시절 밤세워 공부한답시고 한방에서 잔 일이 있었는데, 그땐 이불싸움 꽤나 했었지. 이날 밤의 호텔 잠은 각자 침대가 있으니, 이불싸움 할 일은 없..
제19회 생활문예대상 수상(입선) 제19회 생활문예대상에 응모했더니, 수상 수식이 왔습니다. 전국에서 5475편이 응모했다니, 관심있던 사람이 많았던 가 봅니다. 입상자는 대상을 포함해 총 100명이었습니다. 경쟁률이 꽤 높은 편이라, 비록 입선이지만 기분은 좋습니다.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전주박물관 가는 길가 과수원에 복숭아꽃이 만발이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 대궐 차린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국민동요 ‘고향의 봄’을 절로 흥얼거린다. 어릴 적 고향에서 함께 뛰어놀던 친구들을 생각난다. 연분홍 꽃이 화사하기 피어 눈앞이 온통 황홀경이다. 한참을 서성거리며 복숭아꽃의 상징인 순수함과 새로운 시작을 마음속에 담는다. 오늘은 여기가 '무릉도원(武陵島源)'이다.
작은 일도 인연이 얹히면 지금부터 55년전, 발령장을 들고 오지학교에 첫걸음하던 날, 교무실에 나타난 만물상 아저씨가 책상 위에 온갖 물건들을 펼쳐놓았다. 아저씨의 달콤한 유혹에 홀딱 넘어가 한 가지를 추켜들었으니, 사진속의 전지가위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니까 나의 등단 날 있었던 일을 증거하는 유일한 기념품(?)이다. 전지가위를 만지고 있으면 교단 첫날 버벅대던 일이 절로 떠오르곤 한다. 이젠 전지가위도 녹슬고 무디어졌으며, 나 또한 세월에 순응하며 지내고 있다.
동백꽃은 세 번 핀다는데 나무에서 피고 땅에서 피고 마음속에서 피고... 현장을 보니 '동백꽃은 세번 핀다'는 말이 맞다. 나무에도 땅에도 동백꽃의 선홍빛이 흥건한 아파트 정원- 어린이집 버스를 기다리는 손녀의 신발마저 빨갛게 물들었다. 한 번 더 핀건가? 쌍둥이 손자의 마음속에도 이쁘게 스며들었겠지.
삼일절 단상(斷想) 초등시절의 삼일절은 학교가는 날이지만, 책보는 안 갖고 갔다. 지난 밤에 부러진 크레용으로 그린 태극기 하나만 달랑 움켜쥐고 가니 발걸음은 한결 가벼웠다. 운동장을 가득채운 아그들은 꽃샘추위로 잔뜩 움츠리고 있었다. 잠시 후 자작 태극기를 휘두르며 만세삼창을 대차게 부르기 위해서 견디고 있었다 '대한독립만세! 만세! 만세!' 그로부터 66년이 지난 오늘, 아파트에 꽂힌 태극기는 몇 안 된다. 내건 집이 오히려 멋쩍어 보이는 삼일절이다.
어느 날 저녁 (이따금 시시하게 114) 쌍둥이 손자는 책을 보고 손녀는 책을 읽고 나는 그걸 보며 빙긋이 웃고 ....
내 책의 안부를 묻다 전주효자도서관 서가 한켠에 꽂혀있는 내 두번째 수필집 '이따금 시시하게'엔 아직 손때가 묻지 않았다. 아무도 읽지 않았다는 증거다. 너나없이 책을 가까이 할 여유가 없는 요즘. '사는데 중헌게 뭔디?'라고 물으면 난감하다 하물며 무명 작가의 수필집에 얼마나 눈이 갈까. 그냥 꽂혀있는 것만으로도 만족한다. 그나저나 정읍시립중앙도서관에 꽂혀있는 첫번째 수필집 '학교 잘 다녀왔습니다'의 안부는 어떤지 궁금~